블로그 이미지
문의☆010*2683*6331
fourseasons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4월 8일, 많은 가족분들이 농장텃밭에 다녀가셨습니다. 

부지런히 일주일에도 여러번 발걸음하시는 분부터 퇴근하시고

아이들과 다녀가시는 분들까지... 여러가족분들이 다녀가시고 

건강한 땀방울 덕분에 주말농장도 봄기운이 가득합니다. :) 



일하는 중간중간 텃밭의 이곳저곳의 모습을 담는데 재미가 들렸습니다.

비록 사진사 실력은 별로지만, 텃밭에 농장가족분들 모습이 더해지면 

자연스럽게 어딘가에라도 담아두고 싶어집니다.



언뜻보면 비슷비슷한 것 같아도 텃밭은 가족여러분들의 

애정과 관심, 땀방울에 비례해 매일 조금씩 변모해갑니다.



지난 주말에 내린 비로 땅이 촉촉합니다. 비온 뒤 땅이 

수분을 머금었을 때 고랑과 두둑을 튼튼히 손보면 좋답니다.






비닐멀칭 후 꼼꼼히 갈무리 해 놓으신 모습 :) 



큰 삽질 한번이 열번의 부지런한 호미질만 못합니다.



바쁜 일상에도 부지런히 다녀가시고 농사를 즐기시는 

농장가족분들 모습에서 많은 것들을 배우고 느낍니다. :)



각자의 다양한 꿈머무는 텃밭풍경은 또 다른 인생 공부입니다.



웅자도 이제 농장생활에 많이 적응된 모습입니다. 

혹여나 가족분들 텃밭을 지나다니며 놀다가 밭을 헤집어놓거나 

길에 오가는 차들에 다칠까싶어 종일 묶어놓아 미안하네요. 

가끔씩 잠깐동안 풀어놓고 뛰어놀게 해주곤 합니다. :)

쓰다듬어주면 많이 좋아라합니다. 웅자 이뻐해주세요. ^^  


Brad Mehldau의 2002년 Largo앨범 중 - "When it rains"

 

Brad Mehldau

재즈 피아니스트, '브래드 멜다우 트리오'를 이끌고 있는 밴드의 리더.전세계의 재즈거장들뿐 아니라 클래식, 팝 아티스트들과도 왕성한 교류와 협연수많은 명곡, 명연주들을 선보이고 있는 아티스트. 90년대 이후 이처럼 많은 매니아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는 연주자도 드물다. 그의 연주는 약간 어두운 듯싶지만 동시에 묘하게 맑고 명징한 감성을 품는다. 틀에 박힌 스탠더드의 재해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장르를 뛰어넘어 많은 아티스트의 명곡을 그만의 재즈스타일로 재

창조 해낸다. 처음 그를 안 'Largo'앨범부터 

'Highway Rider' 올해 초 발표한 'Where do you start' 앨범에 이르기까지 

그의 연주와 음악들은 늘 새로운 기대를 놓을 수 없을만큼 만족스럽다. 

 

Brad Mehldau Trio

브래드 멜다우(Brad Mehldau)-Piano 

레리 그레나디어(Larry Grenadier)-Bass 
제프 발라드(Jeff Ballard)-Drum 

 

 

무려 'Jon Brion'이 프로듀스한 브래드 멜다우(Brad Mehldau) 2002년 

10번째 정규앨범 'Largo' (largo= '넓게,느리게'를 의미하는 음악기호)

 

Track List


01. When It Rains
02. You’re Vibing Me
03. Dusty McNugget
04. Dropjes
05. Paranoid Android
06. Franklin Avenue
07. Sabbath
08. Dear Prudence
09. Free Willy
10. Alvarado
11. Wave/Mother Nature’s Son
12. I Do

 

 

 

 


4월 5일, 아이들이 다녀간 텃밭 옆에 돌을 골라놓았네요.

조막만한 손이지만 여럿 모이면 순식간에 자루안에는 돌이 가득합니다.

 주말농장 식구분들의 쉼터가 될 원두막 공사중입니다. :) 



4월 6일 토요일, 종일 비가 내려 쌀쌀한 오후..

집안에 꼭 붙어 잠을 청하는 중인 뽀삐와 냥이


둘이 꼭 붙어있는 모습은 언제봐도 재미있습니다. :)


쿨~~~


서로의 온기에 기대는 모습이 정겹습니다. :) 


이제 뽀삐도 냥이도 많이 커버려서 집이 좁아져버렸네요. 조만간 넓혀줘야할듯..


하우스 안에서는 모종들이 하루가 다르게 무럭무럭 크고 있습니다.

.

.


아직은 텃밭에 정식하기엔 기온차가 좀 큽니다. 

오늘은 비가 내리는데도 많은 가족들이 우비 챙겨입으시고 

농장 텃밭에 다녀가셨고 종일 바쁘게 보낸 하루였네요. 


참, 오실 때는 장화는 꼭 챙겨오시는게 좋습니다! :) 



그저께 바람이 쌀쌀하더니 오늘은 초여름처럼 날씨가 따뜻합니다.




물배관 작업이 조금 시간이 걸리네요. ㅜㅜ




농장가족 분들의 편안한 쉼터가 될 원두막 기초공사중입니다. :)

이번 주말 중엔 완료될 것 같아요. 마음은 급하지만 꼼꼼하게....






점심먹고 나른한 냥이와 호시탐탐 고기를 노리는 뽀삐



4월 1일, 냥이와 뽀삐와 웅자의 나른한 오후



망중한 뽀삐와 마실나가는 냥이와 봄소녀 웅자



주말농장 구획정리와 물배관 중입니다.



오늘은 비 온 뒤 찬바람 쐬었더니 몸이 으슬으슬합니다...  @.@;

4월 5일 개장을 앞두고 열심히 준비하고 있는 요즈음입니다, 

곧 농장 가족분들께 개장과 관련하여 문자로 연락드리겠습니다. :)




주말농장에 새 식구,웅자(3개월)가 왔습니다. 엄마랑 언니는 집에서 기르고 있어요. :)






강아지라 밥도 잘 먹고 쑥쑥 크는 중인 웅자. :)


하룻밤 지나고 가니 더 반깁니다. 맞은편에 오빠 '뽀삐'가 있지만 아직 애기라.. :)



앞으로 건강하게 자라다오~ 






나윤선-"아리랑"(Arirang in Jazz)

2013. 3. 27. 18:12 | Posted by fourseasons
나윤선 - "아리랑"(Arirang in Jazz)


아리랑(2008년) - [69x69 화선지에 먹 + 유성 by 먹방지기(jangcheon)]



나윤선 - "아리랑" Live (Arirang in Jazz)


나윤선('1969 ~ present) 재즈가수, 뮤지컬배우, 교수

한국은 물론 프랑스에서의 활발한 음악 활동으로 현재 유럽 내에서 상당한 인정을 받고 있는 나윤선은 매우 개성 강한 재즈 보컬리스트이자 작곡가라 할 수 있다. 김민기의 뮤지컬 '지하철 1호선'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음악에 매료된 나윤선은 본격적인 음악 수업을 위해 홀연히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다. 명문 재즈학교 CIM에서 수학하면서 뮤지션으로서의 자질을 다지며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구축하던 나윤선은 졸업 후 CIM 최초의 동양인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자신의 퀸텟을 이끌며 그 동안 품어온 음악적 이상을 현실로 이루어 가고 있다. 










original post from "농담(

)"블로그

 

written by StoneHinge in Friday, July 6th, 2012 

 

원문글보기

 

 
먹을거리와 도시
 

굶주린 도시(Hungry City)의 저자 Carolyn Steel 씨는 자신의 TED 토크인 “먹을거리가 어떻게 우리의 도시를 형성하는가(How Food Shapes Our Cities)”에서 도시화가 시작된 이후 어떻게 도시가 농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 설명한다 – 물론 이건 논리적이다. 어떻게 도시가 그것을 지탱할 만한 믿음직한 식량원 없이 번성할 수 있겠는가?

 

Steel 씨는 지도와 도로명을 보면 이러한 먹을거리가 사고팔리는 대광장 쪽으로 고대 도시에 먹을거리가 물질적으로 새겨놓은 경로를 볼 수 있고, 도시 스스로 어떻게 이러한 먹을거리의 유통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건설되었는지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예를 들어 런던의 Friday street는 금요시장에서 생선이 팔리던 곳). 

 

물론 산업화가 모든 걸 바꾸어 놓았다. Steel 씨는 우리가 우리의 도시 안으로 이미 도축된 고기와 이미 집하된 채소를 들여오려고 철도를 사용하기 시작하자마자, 우린 “사실상 지형으로부터 우리의 도시를 자유롭게 했다”고 표현한다.

 

급작스럽게 우리의 도시는 놀라운 성장속도로 어떤 방향으로든 성장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오늘날도 그렇게 하고 있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와 같이 이러한 진보는 어두운 측면이 있다.

 

오늘날 전형적인 도시민은 어디에서 어떻게 먹을거리가 생산/분배되는지 모르고 있다. 우린 공장형 농장에서 우리의 슈퍼마켓으로 막대한 양의 먹을거리를 가져오는 거대하고, 강력하고, 이윤 지향적인 기업에 의존하게 되었다 – 그러나 그 전체 과정은 비밀스럽고, 매우 복잡하고, 전혀 지속가능하지 않다...

 

- 중략 -

 

 

 

 

이 강연영상은 StoneHinge님의 블로그에 포스팅하신 '쿠바의 도시농업' 관련 글에서 인용하신 TED강연을 빌려 온 것입니다. 원본글은 영상과 더불어 더 나아가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니 한번 읽어보시면 더 깊이있는 이해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TED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면 아래 그림을 클릭!

(↓) 

TED 한국어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