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보기
1974년, 서 시베리아의 수도인 노보시비르스크(Novosibirsk)에서 태어나 5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공부했다. 10살 때, 청소년 비에니아브스키 콩쿠르에서 우
승했고, 14살 때는 규정된 나이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의 비경쟁자로 참가했다. 1년 후, 독일에서 개최된 쉴레스비히 홀스타인 음악
제를 통해서 데뷔했다. 1990년엔 '칼 플레시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이때 그는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파가니니의 최고상을 받았고, 기자가 주는 상과 청중
이 주는 상까지도 모두 휩쓸었다.
1990년, 벤게로프는 가족과 함께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이와 함께 그의 연주가
로서의 지평도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
라와 녹음한 파가니니, 왁스만, 생상스의 음반은 1992년 한해에 수많은 음반상
을 휩쓸었고, 그의 이름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는 역할을 했다.
벤게로프를 가르쳤던 투르차니노바(Turtschaninova)에 따르면 벤게로프가 16
살이 됐을 때는 이미 어떤 바이올린 선생도 필요하지 않았다고 한다. 배워야
할 모든 테크닉을 모두 숙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오히려 이때부터 벤게로프
는 다른 분야의 인사들에게서 많은 것을 배운다. 그 가운데 한 사람이 첼리스
트 로스트로포비치(Mstislaw Rostropowitsch)이다. 그와 함께 프로코피에프
와 쇼스타코비치의 협주곡을 레코딩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벤게로프에게
큰 영향을 준 또 한 사람의 거장은 바렌보임(Daniel Barenboim)이다. 혈통적
으로는 러시아 악파에 속하면서도 아주 폭 넓은 레퍼토리를 소화시키고 있는
벤게로프의 면모에서 바렌보임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벤게로프는 1723년에 제작된 "ex-Kiesewetter"라는 이름의 스트라디바리우스
를 사용하고 있다. 이 악기는 시카고의 스트라디바리우스 소사이어티에 속한
클레멘트 에리슨(Clement Arrison)에서 장기임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7년, 벤게로프는 '유엔 어린이 기금(UNICEF)'의 명예대사로 임명되어 보스
니아, 크로아티아, 우간다 등을 방문해서 전쟁으로 상처받은 어린이들을 만나
고 그들을 위해서 연주했다.
*** 주요 음반상 수상 목록
▷ 1999년 / 그라모폰지 '편집자 선정' /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지휘/바렌
보임)
▷ 1998년 / 베스트 뮤직 비디오 / 타이스의 명상곡
▷ 1998년 / 에디슨상 / 쇼스타코비치와 프로코피에프의 협주곡
▷ 1997년 / 에코 클라식상 / 시벨리우스와 닐슨의 협주곡
▷ 1997년 / 아마데우스상 / 시벨리우스와 닐슨의 협주곡
▷ 1996년 / 에디슨상 / 차이코프스키와 글라주노프의 협주곡
▷ 1996년 / 누벨 아카데미상 / 차이코프스키와 글라주노프의 협주곡
▷ 1995년 / 그라모폰상(올해의 최고 음반) / 쇼스타코비치와 프로코피에프의
협주곡
▷ 1995년 / 시에나상(Siena Prize) / 쇼스타코비치와 프로코피에프의 협주곡
▷ 1994년 / 그라모폰상(올해의 영 아티스트)
▷ 1994년 / 에디슨상)(올해의 아티스트)
▷ 1994년 / 디아파종 상 / 부르흐와 멘델스존의 협주곡
▷ 1994년 / 디스코필 그랑쁘리 / 부르흐와 멘델스존의 협주곡
▷ 1994년 / RTL d'Or / 부르흐와 멘델스존의 협주곡
벤겔로프는 하이페츠가 사용했던 활을 사용하고 있다. 하이페츠는 1987년에
자기가 사용하던 활을 자신의 후계자가 될만한 연주자에게 주라는 유언을 했
었고, 1993년에 이 활이 벤겔로프에게 기증되었다. 이런 사연으로 인해서 벤겔
로프를 하이페츠의 후계자라고 부르고 있다. 하이페츠의 후견인이었고, 하이
페츠의 전기를 썼던 악셀로드는 뉴욕에서 열린 벤겔로프의 연주회를 본 후 너
무도 감동에 차서 눈물까지 흘리며 벤겔로프를 하이페츠의 후계자로 선언한
일도 있었다.
영국의 스트라드지는 "벤겔로프에게 있어서 음악작업은 아름다움을 찾아 소리
의 세계로 향하는 부단한 발견의 항해를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그라모폰지
는 "완벽하게 무형의 실체를 살아있는 음악으로 만들어 전한다."고 평했다.
*** 음반
BRITTEN Violin Concerto, etc.
Maxim Vengerov
EMI 7243 5 57500 2 0 All countries except UK
SHCHEDRIN Concerto Cantabile, etc.
Maxim Vengerov
EMI 7243 556966 2 5
STRAVINSKY Violin Concerto, etc.
Maxim Vengerov
EMI 7243 556966 2 5
WALTON Violin Concerto, etc.
Maxim Vengerov
EMI 7243 5 57500 2 0 All countries except UK
BACH Sonata in A minor
EMI 7243 557384 2 4
Vengerov & Virtuosi
EMI 7243 557164 2 2
때부터 바이올린을 공부했다. 10살 때, 청소년 비에니아브스키 콩쿠르에서 우
승했고, 14살 때는 규정된 나이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의 비경쟁자로 참가했다. 1년 후, 독일에서 개최된 쉴레스비히 홀스타인 음악
제를 통해서 데뷔했다. 1990년엔 '칼 플레시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이때 그는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파가니니의 최고상을 받았고, 기자가 주는 상과 청중
이 주는 상까지도 모두 휩쓸었다.
1990년, 벤게로프는 가족과 함께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이와 함께 그의 연주가
로서의 지평도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
라와 녹음한 파가니니, 왁스만, 생상스의 음반은 1992년 한해에 수많은 음반상
을 휩쓸었고, 그의 이름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는 역할을 했다.
벤게로프를 가르쳤던 투르차니노바(Turtschaninova)에 따르면 벤게로프가 16
살이 됐을 때는 이미 어떤 바이올린 선생도 필요하지 않았다고 한다. 배워야
할 모든 테크닉을 모두 숙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오히려 이때부터 벤게로프
는 다른 분야의 인사들에게서 많은 것을 배운다. 그 가운데 한 사람이 첼리스
트 로스트로포비치(Mstislaw Rostropowitsch)이다. 그와 함께 프로코피에프
와 쇼스타코비치의 협주곡을 레코딩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벤게로프에게
큰 영향을 준 또 한 사람의 거장은 바렌보임(Daniel Barenboim)이다. 혈통적
으로는 러시아 악파에 속하면서도 아주 폭 넓은 레퍼토리를 소화시키고 있는
벤게로프의 면모에서 바렌보임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벤게로프는 1723년에 제작된 "ex-Kiesewetter"라는 이름의 스트라디바리우스
를 사용하고 있다. 이 악기는 시카고의 스트라디바리우스 소사이어티에 속한
클레멘트 에리슨(Clement Arrison)에서 장기임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7년, 벤게로프는 '유엔 어린이 기금(UNICEF)'의 명예대사로 임명되어 보스
니아, 크로아티아, 우간다 등을 방문해서 전쟁으로 상처받은 어린이들을 만나
고 그들을 위해서 연주했다.
*** 주요 음반상 수상 목록
▷ 1999년 / 그라모폰지 '편집자 선정' /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지휘/바렌
보임)
▷ 1998년 / 베스트 뮤직 비디오 / 타이스의 명상곡
▷ 1998년 / 에디슨상 / 쇼스타코비치와 프로코피에프의 협주곡
▷ 1997년 / 에코 클라식상 / 시벨리우스와 닐슨의 협주곡
▷ 1997년 / 아마데우스상 / 시벨리우스와 닐슨의 협주곡
▷ 1996년 / 에디슨상 / 차이코프스키와 글라주노프의 협주곡
▷ 1996년 / 누벨 아카데미상 / 차이코프스키와 글라주노프의 협주곡
▷ 1995년 / 그라모폰상(올해의 최고 음반) / 쇼스타코비치와 프로코피에프의
협주곡
▷ 1995년 / 시에나상(Siena Prize) / 쇼스타코비치와 프로코피에프의 협주곡
▷ 1994년 / 그라모폰상(올해의 영 아티스트)
▷ 1994년 / 에디슨상)(올해의 아티스트)
▷ 1994년 / 디아파종 상 / 부르흐와 멘델스존의 협주곡
▷ 1994년 / 디스코필 그랑쁘리 / 부르흐와 멘델스존의 협주곡
▷ 1994년 / RTL d'Or / 부르흐와 멘델스존의 협주곡
벤겔로프는 하이페츠가 사용했던 활을 사용하고 있다. 하이페츠는 1987년에
자기가 사용하던 활을 자신의 후계자가 될만한 연주자에게 주라는 유언을 했
었고, 1993년에 이 활이 벤겔로프에게 기증되었다. 이런 사연으로 인해서 벤겔
로프를 하이페츠의 후계자라고 부르고 있다. 하이페츠의 후견인이었고, 하이
페츠의 전기를 썼던 악셀로드는 뉴욕에서 열린 벤겔로프의 연주회를 본 후 너
무도 감동에 차서 눈물까지 흘리며 벤겔로프를 하이페츠의 후계자로 선언한
일도 있었다.
영국의 스트라드지는 "벤겔로프에게 있어서 음악작업은 아름다움을 찾아 소리
의 세계로 향하는 부단한 발견의 항해를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그라모폰지
는 "완벽하게 무형의 실체를 살아있는 음악으로 만들어 전한다."고 평했다.
*** 음반
BRITTEN Violin Concerto, etc.
Maxim Vengerov
EMI 7243 5 57500 2 0 All countries except UK
SHCHEDRIN Concerto Cantabile, etc.
Maxim Vengerov
EMI 7243 556966 2 5
STRAVINSKY Violin Concerto, etc.
Maxim Vengerov
EMI 7243 556966 2 5
WALTON Violin Concerto, etc.
Maxim Vengerov
EMI 7243 5 57500 2 0 All countries except UK
BACH Sonata in A minor
EMI 7243 557384 2 4
Vengerov & Virtuosi
EMI 7243 557164 2 2
출처 : 곽근수 님의 음악가이야기
지금은 전성기를 약간 지난 이작 펄만, 한국의 자존심 정경화, 혹은 장영주? 안네 소피 무터? 누구의 연주가 더 훌륭한가 라는 질문에는 정답이 없지만,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바이올리니스트가 누구냐고 묻는다면 주저없이 막심 벤게로프라고 대답할 수 있다. 그는 어린시절의 천재라는 수식어를 뛰어넘어 거장의 반열에 우뚝섰으며, 겸손하게 지금까지의 커리어로만 보더라도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잘 나가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라 해도 손색이 없다. 2008년에 부상으로 공식활동을 모두 접었던 그가 재활에 성공에 최근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는 반가운 소식도 있다. 비단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뿐만 아니라, 막심의 연주는 듣는이로 하여금 시간의 흐름도 잊게할만큼 환상적이다. 클래식에 대한 지식이 없이도 우리는 음악을 듣고 감동을 느낄 수 있는 귀와 가슴을 가지고 있으니까... :)
많은 명 연주와 클래식 곡들 중 꽤 강렬하게 나를 사로잡았던 곡이다...
지금도 언제건 이 곡을 듣고 있다보면 샘물처럼 행복감이 올라온다.
Maxim Vengerov - Tchaikovsky Violin Concerto
Tchaikovsky - Violin Concerto in D major
Oxford Philharmonic Orchestra
Maxim Vengerov - violin
Marios Papadopoulos - conductor
Performed at the Sheldonian Theatre in December 2014.
'음악♪삶의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이콥스키`바이올린협주곡D장조`(Tchaikovsky,Violin Concerto in D major,Op.35)/ 이작 펄만(Itzhak Perlman) (0) | 2013.03.12 |
---|---|
차이콥스키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Op.35/ 영화"Le Conert" o.s.t (0) | 2013.03.12 |
재즈싱어 '말로' & 기타리스트 '박주원' - "Sunny" (0) | 2013.03.12 |
정재형 피아노앨범 'Le Petit Piano' - "오솔길" (0) | 2013.03.12 |
리안 라 하바스(Lianne La Havas) - "Is your love big enough?" (0) | 2013.03.05 |